
일요일날 몸국 만들다 남겨 둔, 2번째 재탕해 둔 돼지뼈 국물로
어제 고기국수를 말아서 먹었습니다. 이것도 우리지방의 토속음식입니다.
국물이 느끼하지 않고 아주 고소하고요 맛있어요...말로는 설명이 잘 안되네용.^^
소뼈보다 더 고소해요.
뼈를 2번째 고면 감칠맛이 덜해요. 그럴때는 다시마를 넣었다가
건져내면 맛이 확 달라집니다. 소금으로만 간을 하면 됩니다.
당근채 데친 것, 유부 데쳐 채썬 것, 송송 파, 돼지고기 편육,
고춧가루 양념(고추가루+깨+후추를 간것)을 넣고 먹으면 얼큰하니
더 고소하고 좋습니다. 면은 굵은 면이 좋습니다.
저는 국수끓일때는 꼭 유부를 넣어요.
우리지방 국수집에도 거의 다 유부를 넣습니다.
저는 유부를 많이 듬뿍 넣어주는 곳만 찾아 다녔어요.^^

국수 먹는 중간에 돼지고기 편육을 잘 익은 김치에 싸서 먹으면
이거이거 정말 말이 필요 없지요.
식당에서 파는 고기국수에는 돼지편육을 달랑 3-4개만 주지만
집에서 만들어 먹으면 실컷 먹을 수 있어 좋습니다.

이 고춧가루 양념이에요. 바쁠때 아주 유용하게 쓰여요.
고춧가루,깨, 후추가 동시에 들어가야 하는 곳에 이것만 넣으면 됩니다.
볶음, 무침, 겉절이 등등....
특히 면 종류에는 반드시 들어가는데 저는 라면에도
먹기 직전에 넣어서 먹는데 훨씬 좋아요.
여름에는 이걸 만들지 않아요. 아무래도 얼큰하고 뜨거운 국물이
당기는 가을 겨울에 만들게 됩니다.
식당이나 분식집에도 항상 이게 있지요.
저는 오래 보관은 안해요. 길어야 2주에요.

어제 여동생 퇴근시간에 맞춰 국수 해 먹으러 같이 집으로 가던 중
동생이 콩을 사야 한다며 곡식가게로 간 김에 저도 샀어요.
아주 작은 약콩이에요. 팥알 크기만 해요.
이걸로 밥을 하면 색깔도 아주 예쁘고 뭣보다도 아이가 불평않고
이 콩을 먹어요. 콩알이 작아서요.
예전에 큰 콩을 넣고 밥을 하면 어른(남편)이나 아이나 똑같이 '콩알이 크네 작네, 잘 안 넘어가네'하고
궁시렁 거리다가 이걸로 하니까 별 반응 없이 먹어요.
사실은 제가 이 콩을 너무 좋아합니다. 밥하면 다른 검정콩보다 밥 색깔이 너무 예뻐요.
오래 불려도 껍질이 벗겨지지 않아서 좋습니다.

이것은 오늘아침 밥상입니다.
오늘 저녁은 밥하기 싫어서 아이와 함께 간만에 패스트푸드점에서 먹고 왔습니다.
대신 집에 와서 진하게 우롱차 마셨습니다.
밖에서 저녁 해결했더니 저녁시간이 엄청 넉넉하네요.
아침반찬은요 할머니께서 주신 시금치를 초고추장으로 무쳤고요,
귤차 즙(유자청도 됨), 간장, 고추가루양념(깨+후추들어간), 참기름만
넣어서 상추 샐러드를 했는데 새콤달콤 맛있었습니다.
4일 된 자투리김치 지진것도 있네요.
밀가루가 똑 하고 떨어져서 찹쌀가루에 고구마가루를 섞어서
호박부침개도 부쳤습니다.
뒤집을때까지만 해도 괜챦던 부침개가 접시에 옮기면서
그만 부서졌어요. 그래도 맛은 좋았습니다.
어제 산 약콩으로 밥도 했는데 정말 밥 색깔이 좋아요.
사진에는 다른 색으로 나왔네요.

곡식가게에서 새까만 흙을 뒤집어 쓴 햇생강도 팔길레 동생과 사서 나눴어요.
저는 이런 여린 생강은 껍질을 안 벗겨요.
주방용 칫솔(엄청 편해요)로 흙만 씻어서 여러번 헹구고 물기도 바싹 말린다음
편으로 썰어서 냉동보관 합니다.
씻어서 소쿠리에 담아서 밤새 베란다에 두면 물기 없이 겉만 바싹 말라서 보관을 해도 더 오래갑니다.
겉에 물기가 전혀 없어서요. 냉동해도 서로 들러붙지도 않지요.
오래된 생강은 껍질이 두꺼워 벗겨내야겠지만 이런 연한 것은 그냥 먹습니다.
요 생강들 뽀샤시한게 너무 귀엽지 않습니까?
출처 : 송이앨범
글쓴이 : 양송이 원글보기
메모 :
'Food > 엔지니어66'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저녁밥상과 늙은 호박을 이용한 음식들(갈치국 외) (0) | 2007.06.24 |
---|---|
[스크랩] 일요일날 특별식...몸국 (0) | 2007.06.24 |
[스크랩] 콩나물을 이용한 몇 가지 음식들 (0) | 2007.06.24 |
[스크랩] 나 혼자만을 위한 점심, 그리고 콩국 (0) | 2007.06.24 |
[스크랩] 아주 간단한 오렌지카레소스 닭구이 (0) | 2007.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