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od/엔지니어66
[스크랩] 겨울에 먹기 좋은 국과 반찬들(사진 많음)
파도아래 구름위
2007. 6. 24. 21:10
제가 어릴적 겨울에 참 많이도 먹은 국과 반찬입니다.
어릴적에 그토록 물리게 먹었어도 지금도 계속 먹고 싶은 음식들이지요.
(동태국)

동태찌게가 아닌 짜지 않고 맛있는 동태국입니다.
신김치와 무, 생태나 동태를 넣어서 끓이는데 너무너무 시원하고 맛있습니다.
맹물에 먼저 나박 썬 무를 넣고 팔팔 끓이다 동태, 신김치를
넣고 된장을 한 큰술 풀어 넣습니다.
그런 다음 푹푹 끓이면 감칠맛이 도는 시원한 동태국이 됩니다.
멸치다싯국물 안 써도 됩니다.
왕소금으로 살짝 마무리 간을 합니다. 저는 마늘은 안 넣습니다.
제가 끓인국은 짜지 않고 삼삼하고 다른 반찬이 필요 없어요.
( 돼지고기국)

이것도 아주 맛있는 국입니다. 짜지않고 삼삼해요.
재료 : 무, 돼지고기(반드시 앞다리),신김치,두부,실파
1. 무는 고기양의 반을 넣고 고기와 김치는 같은 양 넣어서 맹물 붓고 푹푹
끓이면 감칠맛이 우러납니다.
2. 물의 양은 나중에 두부도 조금 넣을 것을 생각해서 넣으세요.
김치가 고기보다 조금 많아도 됩니다.
마무리는 왕소금으로 하세요. (된장을 1큰술 풀어넣고 먹을때도 있어요)
실파를 넣어야 맛있습니다. 이것도 역시 마늘은 안 넣습니다.
마늘 넣은 게 더 좋다는 사람도 있어요 . 취향대로....
앞다리 고기는 잘게 썰으세요. 고기 냄새, 저는 모르겠어요.
그런데 2-3일정도 냉동 시킨 돼지고기로 해도 제 남편이 단번에 알아내서 저는 항상 그때그때
조금씩 사다가 신선할때 합니다. 확실히 맛이 틀려요.
될 수 있으면 냉동실에 오래 있던거는 사용하지 마세요.
저는 먼지 뒤집어 쓴, 아주 추운날에는 꼭 이 국을 먹고 자요.
맵지않은 돼지고기국도 있는데 이것도 정말 맛있지요.
그것은 다음 기회에.....
(무 된장국)

멸치마싯물에 해도 됩니다.
저는 참치액 넣고 멸치 3-4마리 넣고 팔팔 끓이다 무 넣고 된장
삼삼하게 풀어서 마무리 합니다. 역시 마늘 안 넣습니다. 좋으실대로...
이 국에 잘 익은 김장김치만 놓고 먹어도 좋아요.
겨울에 된장국과 잘 익은 김장김치에 밥 먹는 게 저는 가장 맛있어요.
새벽에 밥을 먹어야 할때 저희는 된장국에 따끈한 밥, 김장김치만 놓고 먹을때가 많습니다.
그래도 밥 1공기씩은 거뜬히 아주 달게 먹어요.
이렇게 먹어도 속이 편하고 든든합니다.

길이 70Cm, 무게 6.5kg인 자연산 '히라스'
서울 강남의 고급 레스토랑에서 비싼 특선 요리로 나가는 자연산 제주 생선중의 하나지요.
저의 중학교 남자동창이 낚시갔다가 이 정도 크기 고기를 친구들이랑 20마리 넘게 낚았대요.
2주일 전이에요.


그래서 오랜 친구인 저도 5마리를 받았는데 주변에 나눠주고 한 마리만 제가 해체해서
회를 떠 먹고 다시 생선 커틀릿용으로 커다랗게 4토막 떠서 청주,후추 뿌려 냉동시키고
그래도 남은 것은 튀김가루 입혀서 뎀뿌라(?)해서 먹었습니다. 입에서 살살 녹아요.
생선알로 알탕을 끓였더니 정말 맛있었습니다.
어머니께서 많이 해 주셨던 거지요.
얼마나 크고 무겁고 위험하던지 고기뼈를 바르고 포를 뜨면서 정신을 집중하고 했습니다.
다행히 무사히 끝냈습니다.
그 커다란 생선 대가리와 뼈를 우려서 아래와 같은 기막힌 지리국을 끓여 먹었습니다.
저는 기타 다른 생선뼈들도 즉시 냉동시켰다가 이렇게 해서 먹습니다.

푹 끓여서 먹을만큼 덜어내서 편 생강, 편 마늘, 무 나 봄동배추를 넣어서 끓이고
왕소금으로 간을 하면 끝입니다. 나중에 대파도 넣어주면 좋아요.
서울에 사시는 저의 시아주버님들께서 아주 좋아하시는 국이지요.
두고두고 말씀하세요. 이렇게 맛있는 지리 처음이라고.
여기에 고추가루, 된장 조금 풀고 매운고추 넣으면 그냥 매운탕이 되는데 지리가 훨씬 나아요.

나머지 남은 육수도 미역넣고 미역국을 끓여 먹습니다.
조선간장으로만 간을 하고 먹습니다. 역시 설명이 필요없지요.

오징어 간장조림이에요.
싸고 큰 오징어를 데친 다음 알맞게 썰어 둡니다.
간장, 조청(물엿),청주(물), 식용유(취향에 따라 올리브유 외)를 짜지 않게 섞어서
데친 오징어 넣고 국물이 없어질때까지 중간불로 볶습니다.
뜨거울때는 질긴 듯 하지만 식은 다음 냉장고에 보관한 후 먹으면 아주 맛이 좋아요.
그다지 질기다는 느낌도 덜해요. 꼭 그렇게 드셔 보세요.
(반 건조 명태조림)

겨울에 이거 많이들 드시죠?
저도 정말 많이 먹었습니다.
간장, 조청(물엿),고추가루,청주, 다진마늘,식용유를 알맞게 넣고 물을 고기가 잠길 정도로
부어서 졸이면 윤기가 자르르 흐르는 맛있는 밥도둑 명태조림이 됩니다.
저는 여기에도 마늘은 안 넣는데 취향에 따라 넣으셔도 됩니다.
군침이 돕니다.
( 온갖 자반생선 지져먹기)

특히 자반고등어를 쌀뜨물에 담가 짠기를 빼고 이렇게 지져먹으면 참 좋습니다.
이것도 역시 많이들 드시지요?
저의 시골에서는 가을에 갖은 생선들을 염장 후 씻어 말려뒀다가 겨울에 간장, 조청(설탕),식용유,
다진마늘,물,고춧가루를 넣어서 지져서 먹었습니다.
대파나 고추, 양파등을 넣고 지져도 맛있어요.
기름에 튀긴경우는 거의 없었지요.


만만한 어묵볶음.
제가 자라면서 먹었던 가장 맛있는 어묵 볶음은 바로 이 두 가지입니다.
개인적으로 이것저것 다양한 소스를 넣은 것보다 훨씬 좋더군요.
위 : 뜨거운 물에 데친 어묵을 기름에 볶다가 간장과 물을 조금만 넣어서 볶는 겁니다.
양파와 푸른고추도 채 썰어 넣고 후추를 뿌리면 정말 맛있습니다.
아래 : 역시 뜨거운 물에 데친 어묵을 고추기름 두르고 볶다가 안 매운 고추 넣고
케챱과 간장으로 마무리하면 됩니다. 맛있습니다.
제가 쓰는 고추기름은 생강,마늘이 들어간 거라 별도로 마늘은 넣지 안습니다.

꺼내서 먹다 남은 김치자투리들로 만든 신김치볶음입니다.
몇 번 깨끗이 씻어서 팬에 기름 두르고 김치 넣고 설탕만 조금 뿌려서 볶으면
정말 깔끔하고 맛있는 밥 반찬이 됩니다. 뜨거워도 식어도 맛만 좋습니다.
이게 은근히 밥도둑이에요.

겨울에 이 과자도 빼놓을 수 없지요.
어머니가 오일장에서 모듬과자를 듬뿍 사 오시면 조금씩 덜어서 주셨지요.
긴긴 겨울방학에 참 맛있게도 먹었습니다.

제가 쓰는 왕소금입니다.
대형마트에 가면 이런 마대에 담겨있는 천일염이 있어요.
베란다에 벽돌을 양옆으로 놓고 소금자루를 걸쳐 놓으면 간수가 계속 빠져서 좋은 소금이
됩니다. 예전에 시골에서는 이렇게 해서 썼습니다.
웬만한 꽃소금과 비교가 안 되지요.
저는 이것을 양념으로 쓰는데 국물 양념에는 왕소금을, 볶음이나 무침에는 볶은 고운 소금을 씁니다.

( 2년동안 비가 오나 눈이 오나 군살이 붙은 무거운 내 몸을 싣고 다니는 작업화 겸 등산화....)
이틀동안 온 섬이 눈으로 뒤 덮였었습니다.
일터에서 하얀 눈 위를 밟고 뒤를 돌아보니 어느 책에선가 읽은 구절이 생각났습니다.
' 어떤, 길 모르는 이가 내 발자국을 지표 삼아 걸을 것을 생각하니 감히 허투로 걸을 수가
없었다'라는.... 대충 그런 내용이요.
제가 제 발자국을 이리 자세히 본 적이 예전에는 없었습니다.
' 너는 , 어떤 힘든 이를 위하여 지표가 되어 준 적이 있는가 ? '
제가 제 자신에게 물어 봤습니다..
출처 : 살아있다면....
글쓴이 : 살아있다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