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od/엔지니어66
[스크랩] 양송이,고추멸치볶음, 계란말이, 떡 샌드위치 外(r.p)
파도아래 구름위
2007. 6. 24. 21:02
제목 붙이기가 참 힘듭니다. ^^
그래서 반찬종류를 제목에다 주욱 나열했습니다.
아래 반찬들은 요즘같은 더운때 밥에 먹으면 아무리 입맛이 없어도
밥 한공기는 그냥 먹을 수 있는 반찬들입니다.
몇가지만 빼고요. ^^
(양송이버섯 고추볶음)

양송이 2팩, 매운고추 3개, 풋고추10개, 진간장 2큰술, 조청(물엿)1큰술
1. 팬에 기름을 넉넉히 두르고 고추썬 거와 도톰하게 썬 양송이를 넣고 달달 볶습니다.
2. 고추가 어느정도 축 쳐지면 물을 재료가 살짝 잠길정도만 넣고
간장,물엿을 넣고 국물이 거의 없어질때까지 졸이면 됩니다.
여기에 마늘은 넣지 마세요. 딱 이대로가 맛있습니다. 밥을 마구 먹게 됩니다.
취향에 따라 매운고추나 풋고추양은 조절하세요.
칼칼하니 아주 맛있습니다. 고추씨는 대충 털어 내세요.
팽이버섯이나 느타리버섯은 질겨지니 양송이나 표고버섯 으로 하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양송이버섯 껍질은 벗기지 말고 그냥 하시는 게 좋습니다.
금방했을때는 이렇게 때깔이 좋지만 냉장고에 들어 갔다 나오면 축 쳐져요.
그래도 맛은 아주 좋아요.
양송이 2팩도 볶아놓으면 쪼끔밖에 안 됩니다.
(고추 다시멸치볶음)

저는 이렇게 은회색이 뚜렷한 다시멸치를 사용합니다.
멸치를 선택하는 각자의 취향이 있겠지만 저는 이걸 선호합니다.
주로 시장 어물전에서 맛을 보고 구입하는데 제가 사온 이 멸치는
짜지도 않고 간간한 정도입니다.
크기도 크지않고 적당해서 볶음요리는 물론 반 갈라서 고추장에 그냥 찍어
먹을 수 있어서 좋습니다.
다싯국물도 이 멸치로 내는데 비린내도 안나요.

멸치대가리를 떼고 반 가른 다음 뼈도 골라 냅니다.
큰 거는 가로로 2등분 합니다.
다듬고 자른 멸치 2컵(가득 채워서), 컵은 200ml짜리입니다.
진간장 3큰술, 고추 15개(매운고추 섞음),마늘 20개, 조청(물엿) 2큰술
1. 팬에 기름을 넉넉히 두르고 멸치,고추, 마늘도 편썰어 넣고 고추가 숨이 죽을때까지 볶습니다.
2. 어느정도 볶아지면 재료가 살짝 잠길 정도로 물을 넣고 간장,물엿을 넣고 국물이
자작해질때까지 졸이듯 볶아주면 끝입니다.
다른 양념 넣지 마시고 간장과 물엿(조청)만 넣고 해 보세요.
아주 깔끔해요. 간도 그다지 짜지도 않고 밥반찬으로 그만입니다.
고추는 매운고추도 섞어 주셔야 더 맛있습니다. 취향대로 하시구요.
짠 다시멸치일 경우에는 간장을 2큰술만 넣어도 됩니다.
금방 해도 맛있지만 냉장고에 보관해도 더 맛있어요.
고혈압등 지병만 아니면 여름에는 다소 짭잘하게 드시는게 좋다고 합니다.
땀으로 염분이 많이 빠져나온대요.
그래서 일반 식품회사 양념젓갈들도 여름에는 염도를 더 높게 해서 시판을 한다고 합니다.
(다싯물 낸 멸치볶음)

이거는 아침에 다싯물 낸 다음 남게 되는 물 빠진 다시마와 멸치를
버리지 않고 그 즉시 볶은 겁니다.
고추는 넣지않고 대신 고추가루와 마늘,간장,조청(물엿)만 넣었어요.
위의 고추멸치볶음도 맛있지만 물빠진 멸치볶음도 아주 색다른 맛이에요.
둘 다 맛이 확 틀리고 둘 다 맛있습니다.
국물을 내고 난 후 남게 되는 멸치와 다시마는 모아뒀다가 반찬을 해야지 하면
안 하게 돼요.
저는 밥 뜸들이는 사이에 후딱 볶습니다.
나중에 먹는 한이 있어도 그날 볶아둡니다.
식어도 훌륭한 밥반찬이에요.
워낙 적은 양이라 자세한 양념비율은 안 적었습니다.
(소불고기 양념)

소 불고기도 다른 분들께서 훨씬 잘 하시죠.
동네마트에 한우 불고기감을 세일하길레 사서 양념했습니다.
일반 불고기감보다 다소 두꺼워요.
제가 하는 양념은 남들과 똑 같아요.
소 불고기감 500g,
진간장4큰술, 설탕1.5큰술, 청주2큰술, 다진마늘 1큰술, 배즙1컵,
양파즙 1/3컵, 참기름1큰술, 깨, 후추
이 양념에 재워뒀다가 팬에 구워서 먹으면 너무 부드럽지요.
이번주에 구워 먹을겁니다.
(미트로프 계란말이)




먹다 남은 냉동해둔 미트로프(지난주에 올렸습니다)를 녹여서 계란말이를 했습니다.
누구나 다 아는 계란말이 입니다. ^^
미트로프를 소스에 찍어 먹는것보다 계란말이해서 먹는게 저는 더 좋더군요.
파김치에 먹으면 말이 필요없지요.
계란말이는 불조절만 잘하면 눈사람 굴리듯 무한정 두껍게 말 수 있는 밥반찬입니다.
저는 계란에 일체 간을 안하고 청주만 조금 섞었는데 너무 부드럽고 맛있어요.


계란말이 올린 김에 며칠전 밤에 술 마시고 일찍 들어 온 남편이 밥을 달라고 하길레
후딱 말은 계란말이도 올려 봅니다.
두께 5cm가 넘는 계란말이에요.
잘 익은 파김치에 같이 먹었어요.
냉장고에 있는 채소들을 잘게 썰어 넣기만 하면 되는, 온 국민이 즐겨먹는 계란말이지요.
계란말이 만들어서 먹다보면 계란 한판 금방 먹습니다.

지난 주, 아이 어린이집에서 견학갈때 만든 주먹밥입니다.
어린이집에서 열흘에 한번꼴로 견학과 현장체험,공연등을 보러 가더군요.
그래서 손 쉬운 주먹밥을 그때그때 있는 반찬으로 만듭니다.
저 위에 양송이고추볶음에 양송이만 골라내고 남아 있던 미트로프 다져서 주먹밥을 했더니
아주 맛있더군요.
양송이볶음이 맛을 확 살려주었어요.
밥은 삼배초로 버무렸습니다.
동치미 무도 먹기 좋게 잘라주었습니다.
김치는 작은 통에 따로 담아주고 싶지만 선생님들께서 그릇을
최소한으로 줄여 달라고 하셔서 랩에 싸서 도시락 귀퉁이에 늘 넣습니다.
(오이지 무침)

지난 주에 담근 오이지를 몇 개 꺼내서 무쳤습니다.
그런대로 잘 익었습니다.
오이지 3개를 썰어서 베보자기에 꼭 짠다음,
들기름 1.5큰술, 고추가루 반큰술, 설탕 반큰술, 다진파, 깨를 넣고 무쳤더니
아이와 남편이 정말 좋아했습니다.
특히 참기름 대신 들기름을 넣었더니 더 맛있었어요.
마늘도 양파도 넣지 않았습니다.
오래두면서 먹을거는 기름만 빼고 무쳤다가 먹을때마다 기름을 넣어서 먹으면 좋습니다.
미리 기름을 넣고 많이 무쳐두면 기름 쩔은 냄새가 나서 맛이 없더군요.
(떡 샌드위치)


5월 중순쯤에 서울 인사동 '질시루' 떡까페에서 처음으로 떡 샌드위치를 먹어 봤습니다.
당근,양배추등을 아주 잘게 썰어서 마요네즈에 무쳐서 백설기 사이에 넣은건데 정말 맛있더군요.
마침 지난주 금요일날 친구가 집 행사때문에 맞춘 백설기를 나눠 주길레 즉시 냉동해뒀습니다.
그래서 어제 일요일날 등산 갈때 떡을 녹여서 샌드위치를 만들었어요.
정말 이거 먹다가 식빵으로 만든 샌드위치 못 먹겠어요.
백설기를 알맞게 자른 다음 저는 재료들을 다지지 않고 그대로
넣었는데 얼마나 깔끔하고 맜있는지 몰라요.
오이를 감자칼로 얇게 민 다음 마른 행주로 물기를 살짝 눌러줍니다.
떡 위에 마요네즈를 살짝 바른 다음 오이나 햄을 끼워 드시면
이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샌드위치를 드실 수 있어요.
오이를 한줄 깔고 콩알 크기의 마요네즈를 얇게 펴바르고 다시 오이
올리고 마요네즈 바르고...를 되풀이하면 됩니다.
햄쪽에는 머스터드를 발라주면 더 좋습니다. 누구나 아시는 거지만...
마요네즈는 재료가 붙을 정도만 아주 조금 펴 바르세요.
커피에 먹으면 더 맛있지만 그냥 먹어도 입에서 살살 녹아요.
꼭 한번 드셔보세요. 너무 맛있습니다.
참고로 제 아이는 오이만 넣은 샌드위를 더 좋아하더군요.
앞으로는 떡 가게에서도 '샌드위치용'백설기를 식빵처럼 잘라서 팔았으면 좋겠어요.
(햇보리 미숫가루)

시장에 갔더니 가게마다 햇보리 미숫가루를 팔고 있었습니다.
여름에 보리미숫가루 안 먹고 지날수는 없어서 제 단골가게에서 샀어요.
제주도 햇보리 냄새가 물씬 풍기고 고소한게 저의 이모도 드셔 보시고
옛날 먹던 맛 그대로라고 하시더군요.
묵은 보리로는 절대 이 맛이 안 나죠.
제 아이가 참 잘 먹습니다.

마시다 남은 찻잎을 말리고 모아뒀다가 생선이나 고기를 굽고난
팬이나 냄비에 넣어서 한번 끓여주면 냄새가 싹 가십니다.
저는 후라이팬은 절대로 세제로 씻지 않습니다.
앞으로 키친토크에 글 올릴때마다 마른 찻잎 재활용법을 한가지씩
올려드리겠습니다.
제가 차에 입맛을 들이고, 찻잎을 버리지 않고 꼬박꼬박 모아두게 된 동기는
동생이자 제 친구이기도 한, 2살 터울의 남동생 때문이었습니다.
남동생은 26살때 고향인 제주도에 첫 발령이 나면서 서울에서 내려와 식구들과 살게 됐지요.
몇년만에 같이 살게 된 남동생은 그때 이미 차(茶) 매니아가 되어 있더군요.
군복무 시절에 어렵게 끊은 담배의 유혹을 이기려 차를 마시게 됐다고 합니다.
동생은 다 마신 찻잎은 방안 볕 좋은 창가쪽 채반에다 말려두었습니다.
어머니 말마따나 그 당시 남동생 방에 가면 남자냄새(?)가 안 나고
대신 상큼한 찻잎 냄새가 났었지요.
동생은 찻잎을 말리고 모아서 베개속을 꺼내고 거기에 말린 녹차잎을 채워 넣은
녹차베개를 만들었습니다.
그때는 그런 동생이 참 우습고 한심했지만 동생의 맑고 깨끗한 눈을 보면서
저도 차에 관심을 가지게 됐어요.
전형적인 새벽형 인간이었던 동생은 새벽4시 30분이면 일어나서 차를 마시고는
곧바로 체육관에 운동(검도)을 하러 갔습니다.
차 만큼이나 술도 얼마나 좋아했던지 술을 마시고 밤늦게 들어와도 차를 마신 다음
잠을 잤고,일어나는 시간도 정확했지요.
동생이 운동을 마치고 오는 6시쯤에 다시 차를 마셨는데 그때 저도 부시시 일어나서
차를 얻어 마시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면서 저도 모르게 서서히 동생을 닮아가기 시작했어요.
동생이 다시 서울로 발령이 나서 올라가자, 저도 찻잎베개를 만들어서 사용했는데 정말 좋았어요.
그 당시 우리집 베개들은 메밀껍질로 속을 넣은 베개였는데 그것보다 더 좋았습니다.
제가 결혼하면서는 마른 찻잎을 자연스럽게 음식이나 기타 다른곳에 사용하기 시작했지요.
휴가때면 차 산지로 여행을 떠나곤 했던 검도,축구광인 동생이 생각이 나네요.
출처 : 살아있다면....
글쓴이 : 살아있다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