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od/엔지니어66

[스크랩] 만들기 쉬운 우리집 반찬들

파도아래 구름위 2007. 6. 24. 20:55

자주 해먹는 반찬들이에요.


(콩장)

먼저 메주콩 1컵을 물로 두번 정도 재빨리 씻은 다음 솥에 넣어 젖은 채로 볶습니다.
옆쪽에는 물 2컵에 진간장 1/3컵을 넣어 한번 끓여 둡니다.
콩이 고소하게 볶아졌으면 간장물에 부어서 콩에 양념이 밸때까지 졸입니다.
콩이 국물에 살짝 잠길정도로 졸아 들때까지요.
그러면 간도 알맞게 배고 말랑말랑합니다.
너무 오래 끓이면 메주냄새가 나요. 이 상태가 딱 좋습니다.

국물을 너무 바짝 졸이지 말고 콩위에 국물이 자박해야 좋습니다.
그런다음 조청(물엿),고추가루,깨를 넣어서 재빨리 저은 다음 불을 끕니다.

한 김 식으면 송송 썬 파를 넣으면 됩니다.
간도 적당하고 고소해서 밥반찬으로 좋아요.

이거는 작은 항아리에 담아 베란다에 1주일을 둬도 상하지 않아요.
냉장고에 보관하면 콩이 딱딱해지고 맛이 없어져요.
그래서 여름철에는 보관때문에 거의 안 해 먹게 됩니다.



(모자반 콩무침)

우리지방에서는 곡식과 해조류를 같이 넣어서 만든 음식들이 엄청 많습니다.
그중에 하나인데 위 콩장을 몸(모자반)에 같이 무치는 거에요.
모자반을 씻고 물기빼서 알맞게 썬 다음 간장,소금,고춧가루,깨, 다진마늘(선택),송송 파
참기름을 넣어서 무치면 됩니다. 나중에 콩장도 섞어서 같이 버무리면 맛있어요.



생선조림할때도 콩을 불렸다가 같이 넣습니다.
그러면 생선조림이 더 맛있고 궁합도 잘 맞는다고 해요.
저희 집은 일주일에 2-3번은 생선조림을 먹어서 콩을 불려둡니다.
불려 둔 콩은 냉동실에 보관합니다.



생선, 콩을 동시에 넣고 양념장을 부어서 졸이면 돼요.
마늘파와 무 말랭이를 같이 넣고 끓이면 묘하게 조화를 이뤄서
맛도 더욱 더 좋아요.

특히 우럭이나 깩주리(쥐치)등 생물생선에 넣고 졸이면 참 좋습니다.
생선 종류에 따라서 된장도 조금 넣고 끓이기도 합니다.
그러면 더 맛있어요.



(고등어살전)

이거는 고등어구이 먹다가 남은 고등어살을 발라서 전을 부쳤어요.
많이들 해 드시는 거지요.
부침가루에 갖은 야채넣고 고등어살 넣고 지지면 참 맛있어요.
고추, 후추를 넣는 게 더 좋습니다..



(돼지고기무국)

돼지고기국입니다.
저는 소고기국보다 이게 더 맛있어요.

돼지고기 목살을 살코기로만 도톰하게 썹니다.
돼지냄새가 싫으면 소주를 냄비에 두르고 고기를 하얗게
먼저 볶다가 '맹물'을 붓고 끓입니다.
저는 소주없이 한데 다 넣고 끓이는데도 맛만 좋습니다.

국물에 고기국물이 우러나 감칠맛이 돌면 채 썬 무를 넣고
끓이다 무가 투명해지면 양파를 넣습니다.
양파는 무 보다 아주 적게 넣으세요. 안 넣어도 됩니다.
양파를 넣자마자 소금으로만 간을 하고 부추나 대파를 넣어서
불을 끕니다. 마늘은 넣고 싶으면 넣으세요.

먹기전에 후추를 뿌려도 되고 익은 김치에 먹으면 참 맛있어요.
밀가루를 엷게 물에 풀어서 나중에 넣기도 하는데 저는 안 넣습니다.
밀가루 넣은 게 더 맛있다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육수보다는 맹물에 했을때 더 깔끔하고 좋아요.


(부추장떡)

뭐 이거는 부추가 많은 김에 장떡을 지진 겁니다.
너무너무 맛있어요.
부침가루를 물에 갠 다음  된장도 조금 풀고 부추를 듬뿍넣어
부치면 됩니다. 고추도 같이 넣으면 더 좋아요.


(냉이장떡)

냉이장떡 입니다. 이것도 부침가루에 된장을 풀었습니다.
식어도 참 맛있어요.



(오징어조림, 두부조림)

예전에 여러 번 올린적이 잇는 오징어간장조림입니다.
이거 참 맛있어요. 대부분 반찬들이 냉장고에 한번 들어갔다 나오면
맛이 없어지는데 이거는 더욱 더 맛있어져요.

두부조림에 돼지고기를 넣어서 같이 조리면 맛있어요.
두부양념도 여러 번 올린적이 있어서 생략합니다..

돼지고기 음식을 제가 많이 올리죠? ^^
제가 흙먼지 속에서 일하다보니 자주 먹습니다.


(돼지갈비구이)

동생 집에서 먹은 동생표 돼지갈비구이입니다.
조선간장, 사과즙, 꿀, 다진마늘,후추만 넣어서 재운 겁니다.
참기름은 넣지 않습니다.
이거 생선그릴에 구운건데 맛이 기가 막혀요.
저와 제 여동생은 고기양념을 조선간장으로 하는데 맛이
더 깔끔하고 좋아요. 사용해 보신 분들은 아실 겁니다.
시판 진간장보다 조선간장이 오히려 염도가 낮아요.

양념을 목살기준으로 알려드리면,

목살 5장 기준(두꺼운 거)
조선간장 5큰술, 사과 작은 거 반개(즙), 꿀, 다진마늘 반큰술, 후추 조금
매운 고기양념에는 참기름이 들어가야 좋지만 여기에는 안 넣은게 훨씬 좋습니다.



작년에 무청 갈무리하면서 양념장에 찍어 먹엇던 무청입니다.
무청이 아주 달고 맛있어요. 풋내도 안 납니다.
고기 먹을때 같이 먹으면 말이 필요없어요.

산간마을 무청은 아주 달고 맛이 아주 순하고,  바닷가쪽 무청은
짭짤하면서도 아주 깊은맛이 있어요.


(뜨거운 오징어무침)

새콤달콤한 뜨거운 오징어 무침입니다.
먼저 양념장을 만들어 두세요.
저는 양념을 이렇게 했어요.
진간장, 소금, 조청(물엿),고춧가루, 깨,다진마늘, 막걸리식초를
넣어서 잘 개어둡니다.

오징어를 칼집내서 한입크기로 썬 다음 끓는 물에 순식간에
데친 다음 건져서 뜨거울때 양념에 버무립니다.
파도 넣습니다. 참기름은 넣지 않는게 더 갈끔하고 좋아요.
막걸리식초가 맛을 더욱 좋게 해 줍니다.
막걸리식초와 양조식초를 반반 석어도 됩니다.

이거 밥반찬으로도 좋지만 술안주로 그만입니다.
뜨거울때 먹어야 맛있어요. 이거에 밥 비벼 다시 먹고 싶네요.
오징어 데친 국물은 나중에 국을 끓였습니다.


(상추달래 겉절이)

이거는 달래 캐 온 날 상추에 무친 겁니다.
진간장, 조청(물엿), 식초, 고춧가루,깨, 참기름을 넣고 버무렸습니다.
이것도 밥 도둑이에요.


(호박전)

지난 겨울에 커다란 늙은호박 6통을 먹었습니다.
채 썰어서 부침개도 해 먹고 반찬, 국, 밥에도 넣어서 먹었어요.

호박을 갈아서 부침가루 넣고 꿀을 조금만 넣어서 부치면
맛이 더 좋아요.  불조절만 잘하면 타지도 않아요.
이거 정말 맛있어요.  엊그제 마지막 남은 몇 조각 이렇게
해 치웠습니다.   농도를 잘 맞추세요.



이모가 유리병에서 담그고 삭힌 4가지 젓갈을 양념해서 주신 겁니다.
자리젓, 멸치젓, 각재기(전갱이)젓, 갈치젓입니다.
아이가 먹을 수 있게 가위로 잘게 다졌습니다.

제 남편은 저의 이모가 만든 젓갈을 아주 좋아해요.
이모 젓갈 먹다가 다른데거 먹지 못하겠다고 할 정도로 맛이 일품입니다.
이모안테서 병에 젓갈 담는 법 전수 받았는데 젓갈이 성공하면 올려드릴께요.






요즘 양배추와 동지나물이 한창이에요.
밭에 뒹구는 게 양배추들이더군요.
동지나물과 양배추 데쳐서 양념젓갈 얹어서 먹으면
다른 반찬은 필요 없어요.  아이도 참 잘 먹습니다.
국만 심심하게 끓이면 되지요.








어른들 하시는 대로 무를 비닐에 꽁꽁싸서 아이스박스에 보관했었어요.
작년 12월초에 보관한건데 아직도 무 상태가 좋고 아주 달아요.
몇개는 옆으로 살짝 바람이 들려고 하지만 그래도 맛있네요.

여동생이 깍두기 담근다고해서 몇 개 내주고 저도 무생채를 했어요..
무를 채 썬 다음 고춧가루로 조금 물을 들입니다. 20분 정도요.
그런 다음 거기에 고춧가루,막걸리식초, 액젓, 소금,설탕,파,깨를
넣어서 버무립니다.

마늘은 안 넣었어요.  
버무리고 몇 시간 지나면 더욱 더 맛있습니다.





반건조 오징어 튀김입니다.
저는 어릴때부터 반건조 오징어로만 튀김을 먹었어요.
그래서 지금도 생물 오징어보다 반건조 오징어 튀김을 좋아합니다.
반건조가 기름도 안 튀고 참 편해요.

반건조 오징어를 살짝 헹군 다음 물기빼고 마른 부침가루로 옷을
입힌 다음 부침가루 반죽에 튀겼습니다.
기름은 아주 오징어가 살짝 잠길 만큼만 넣어서 뒤집으면서 튀겼어요.



(좁쌀조청, 엿)

우리지방에서는 제삿날 좁쌀 감주를 제삿상에 올립니다.
감주를 달이면 조청이되고 조청을 달이면 엿이 되는 건
다 아시는거죠.  좁쌀은 원기회복에도 좋고 아무튼 어른들께서
좁쌀음식 먹어서 손해 볼 거 없다고 하셨어요.

제주도식 감주 만들어 볼까요.
먼저 차좁쌀로 밥을 지어요.




밥이 한 김 나가면 밥의 30% 정도 되는 엿기름을 넣고



물을 붓습니다.
이렇게 해서 따뜻한 곳에 몇 시간 놔 두면 부글부글 잘 삭습니다.
양푼 그대로 놔 둡니다.

부글부글 잘 삭은 냄새가 나면 물을 거른  다음 건더기에 물을 넣으면서
깨끗하게 주무릅니다.



이렇게 받아 논 물은 체에 한번 거른 다음 끓이기만 하면 됩니다.
불에 올리면 그때부터 끓을때까지 잘 저어줘야 타지 않습니다.
안심하고 불에 그냥 불에 올려두면 밑 부분이 금새 타 버려요.
처음 끓기 전에 잘 지켜서서 저어주면 끓은 후부터는 그냥 놔 두면 됩니다.



2시간 정도 끓이면 이런 프림 탄 커피색이 됩니다.
조금 걸죽해지고 아주 달콤해져요.
이게 감주에요. 이 상태에서 상에 올리고 사람들도
마십니다.  아기들안테도 정말 좋은 음료에요.





감주 상태에서 조금 더 끓이면 짙은 갈색이 나면서 이렇게 부글거립니다.
이때 불을 끄면 딱 알맞은 농도의 조청이 됩니다.
이 상태에서 식혀서 냉장고에 둬도 나중에 쓸때 굳어지지 않아 편리해요.



조청으로 쓸 거만 병에 조금 덜고 엿도 만들었어요.
제 친구가 냄비에 밥 하는것 보다 조청 만드는것이 더 쉽다고 하더군요.
좁쌀조청이 쌀조청보다 색이 더 진해요.

좁쌀로 만든 감주, 조청 여러모로 참 좋아요.
제 아이는 태어나면서부터 지금까지 좁쌀로 만든 음식들 계속 먹고 자랐어요.




돼지고기엿이에요.
조청에 삶아서 찢은 꿩이나 닭을 넣으면 꿩엿,닭엿이 되고
돼지고기를 끓는 물에 데쳐서 넣고 끓이면 돼지고기엿이 됩니다.
겨울철 좋은 보양식 중에 하나에요.

돼지고기로 엿을 만들면 고기같지 않고 참 특이하고 맛있어요.
특히 돼지비계는 아주 다른 게 돼 버려요. 너무 맛있어요.
저는 어릴때부터 이런저런 종류의 엿들을 다 먹어봤는데
돼지고기를 넣은 엿이 제일 맛있어요.

돼지고기로 어떻게 엿을 만드냐고 하지만 엿과 돼지가 완벽하게
궁합도 맞고 먹어보지 않고는 이 맛을 알 수 없어요.

고기를 오래 끓이면 딱딱해져서 맛이 없어요.
소고기로 엿을 한다는 말은 들어 본 적이 없습니다.
좁쌀이 아니어도 식은밥이나 누룽지등으로도 맛 좋은
조청을 만들 수 잇습니다.





아크릴수세미를 만들려고 100% 아크릴실을 구하다 힘들어서
60% 아크릴실을 샀더니 실이 너무 거칠어서 다른 용도로
떴어요.  

찻잔받침 20개를 떠서 10개는 사랑하는 친구주고 10개는 제가
사용하는데 이게 어떤 찻잔에도 잘 어울리네요.

제 친구가 찻잔 받침보고 어찌나 좋아하던지 지금도 눈에 선하네요.
이 친구와 저는 유난히 텔레파시가  잘 통하는...
이야기 거리가  참 많은 그런 사이입니다.





친구 얘기가 나온김에 그 친구집에서 찍었던 사진 2장 올립니다.
개구리와 나비 소품이 참 예쁘더군요.
친구는 어릴때부터 개구리와 나비를 유독 좋아했었대요.



저희 현장 거래처 사장님께서 귤을 2박스나 주셨어요.
귤식초를 담고 귤스킨, 귤에센스도 만들었습니다.
귤식초는 나중에 완성되면 사진찍어 올려드릴께요.
만드는 방법도 그때 완성되면 알려드릴께요.

귤스킨과 에센스를 만들어서 10일을 손에만 먼저 발라봤어요.
아주 좋아요. 왜 진작 안했는지 후회가 막심하더군요.

예전부터 어른들께서 귤 껍질에서 나오는 액체를 바르면
피부가 좋아지고 햇볕에도 안 탄다는 말을 무수히
하셨는데도 제 게으름때문에 그냥 지나쳤었거든요.
과학적으로도 귤의 노란색은 강렬한 자외선이나 외부자극을
차단하게 해 준대요.

귤 농사 하시는 할머니와 아주머니들중에 귤을 이용한 화장품을
만들어 쓰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그 분들 피부를 보면 정말 놀라게 돼요.
뙤약볕과 거친바람속에서도 고운 피부를 갖고 계신분들이 참 많아요.

사람의 살 세포가 100일 주기로 바뀌기 시작한다고 해요.
그래서 100일 동안 제가 얼굴에 발라 본 다음
스킨, 에센스에 들어가는 재료들을 알려드릴께요.

발효시킨 쌀뜨물과 귤등 아주 흔한 재료들만 들어갔어요.
검은병속은 에센스인데 기름이 약간  들어갔기때문에
검은 병 속에 넣었습니다. 에센스는 아주 걸죽해요.
둘다 발효시킨 겁니다.




출처 : 살아있다면....
글쓴이 : 살아있다면 원글보기
메모 :